일반게시판

[스크랩] 플라톤의 가상세계와 실제세계 two-worlds theory

하나부동산중개공인중개사 2013. 5. 5. 23:04

플라톤(Πλάτων(넓은, 어깨 폭이 넓은), 기원전 427년 ~ 기원전 347년)은 큰 영향력을 가진 그리스의 철학자였다.

 

 

플라톤 <동굴의 비유> 중에서

그가 위로 올라가더니 눈을 버려 가지고 왔다고 하면서, 올라가려고 애쓸 가치조차 없다고 하는 말을 듣게 되지 않겠는가?”

영화 ‘매트릭스’(1999)의 주인공 네오는 20세기 후반을 살아가는 평범한 회사원이었습니다. 모피어스라는 인물을 만나기 전까지는요. 모피어스는 네오에게 믿기 힘든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현재는 1999년이 아니라 2199년이며, 지구는 이미 인공지능을 가진 컴퓨터가 지배하고 있고 인간은 인공 인큐베이터 안에서 사육되고 있다는 것이었죠. 컴퓨터에 의해 뇌에 직접 주입된 매트릭스라는 가상현실에 갇혀 있다는 얘기도 듣습니다. 모피어스는 네오에게 두 개의 알약을 건네줍니다. 파란 알약은 지금까지의 모든 기억을 잃고 매트릭스 안에 머물게 도와줍니다. 반면 빨간 알약은 매트릭스에서 벗어나 ‘진짜’ 현실로 돌아오게 해줍니다. 네오는 모피어스를 믿어보기로 했습니다. 빨간 알약을 먹은 것이죠. 가상세계에서 빠져나와 현실로 돌아온 네오에게 저항군 지도자 모피어스는 이렇게 인사를 건넵니다. “진실의 사막에 온 것을 환영합니다(Welcome to desert of the real).”

 

 

 

진실은 감추어져 있고, 우리는 그 사실을 모른다는 이런 상상력은 사실 오래된 것입니다. 얼마나 오래됐느냐고요? 아무리 짧게 잡아도 2000년은 넘었습니다.

 

 

 플라톤(BC 427~BC 347)도 이와 비슷한 얘기를 했으니까요. 그는 서양 역사에서 한 손에 꼽히는 천재적인 철학자입니다. 화이트헤드라는 현대 철학자는 “서양 철학 2000년은 모두 플라톤에 대한 주석에 불과할 뿐”이라고 말했을 정도니까요. 플라톤은 엄청나게 유명한 스승과 제자를 둔 행운아이기도 합니다.

 

지난주에 만나 본 소크라테스가 플라톤의 스승이며, 아리스토텔레스라는 또 한 명의 천재 철학자가 플라톤의 제자입니다. 스승 소크라테스와 달리 플라톤은 매우 많은 책을 남겼습니다. 소크라테스는 단 한 줄의 글도 남기지 않았습니다. 우리가 그에 대해 알 수 있는 건 대부분 제자 플라톤이 남긴 기록 덕분입니다.

 

한편으로 제자 아리스토텔레스와 달리 플라톤의 책은 내용이 그리 딱딱하지 않습니다. 그는 자신의 생각을 비유적인 이야기로 설명하는 데 탁월한 재능을 가진 사람이었죠. 그가 남긴 수많은 이야기 중 가장 유명한 것이 바로 ‘국가’라는 책에 들어 있는 ‘동굴의 비유’ 입니다.

 

 

“우리의 성향을 이런 처지에다 비유해 보게나. 이를테면, 지하의 동굴 모양을 한 거처에서, 즉 불빛 쪽으로 향해서 길게 난 입구를 전체 동굴의 너비만큼이나 넓게 가진 그런 동굴에서 어릴 적부터 사지와 목을 결박당한 상태로 있는 사람들을 상상해 보게.

 

그래서 이들은 이곳에 머물러 있으면서 앞만 보도록 되어 있고, 포박 때문에 머리를 돌릴 수도 없다네.” -‘국가’ 중에서(박종현 옮김)

 

 

동굴 안에 한 무리의 사람들이 있습니다. 모두 동굴 만 쳐다보도록 묶여 있습니다. 뒤에는 불이 피어 있고 그 앞으로 여러 모양의 인형들이 지나다닙니다.

 

그들이 볼 수 있는 것이라곤 벽에 비친 인형의 그림자뿐입니다. 그림자를 진짜(real)라고 착각하게 되는 것도 당연한 일입니다.

 

어느날 한 사람이 우연히 포박을 끊고 동굴 밖에 나가게 됩니다. 마치 영화 ‘매트릭스’에서 가상세계에서 탈출한 네오처럼 ‘진짜’ 세상을 보게 됩니다.

 얼마나 어리둥절했을까요. 평생 진실이라고 철석같이 믿고 있었던 것들이 한갓 그림자에 불과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으니까요.

 

이제 진실을 안 그는 다시 동굴 안으로 돌아갑니다. 동굴 안에 있는 친구들에게, 아직도 그림자를 실물로 착각하고 있는 이들에게 진실을 전하러 간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이럴 수가! 그에게 돌아온 것은 환영과 감사가 아니라 비난과 욕설이었습니다.

 

 

 

“그러면 이 점 또한 생각해 보게. 만약에 이런 사람이 다시 동굴로 내려가서 이전의 같은 자리에 앉는다면, 그가 갑작스레 햇빛에서 벗어나왔으므로, 그의 눈은 어둠으로 가득 차 있게 되지 않겠는가? (중략) 그렇지만, 만약에 줄곧 그곳에서 죄수 상태로 있던 그들과 그 그림자들을 다시 판별해 봄에 있어서 경합을 벌이도록 요구받는다면, 그것도 눈이 제 기능을 회복도 하기 전의 시력이 약한 때에 그런 요구를 받는다면, 어둠에 익숙해지는 이 시간이 아주 짧지는 않을 것이기에, 그는 비웃음을 자초하지 않겠는가?

 

 

 

 또한 그에 대해서, 그가 위로 올라가더니 눈을 버려 가지고 왔다고 하면서, 올라가려고 애쓸 가치조차 없다고 하는 말을 듣게 되지 않겠는가?  그래서 자기들을 풀어 주고서는 위로 인도해 가려고 꾀하는 자를, 자신들의 손으로 어떻게든 붙잡아서 죽일 수만 있다면, 그를 죽여 버리려 하지 않겠는가?”

-‘국가’ 중에서

밝은 곳에 있다 갑자기 어두운 동굴 안으로 들어오니 더듬거리며 앞을 잘 보지 못했나 봅니다. 역설적으로 진리를 깨달은 이후, 그는 오히려 일상적 삶(동굴 속 생활)에 더 서툴러졌습니다. 동굴 속 사람들이 그를 못마땅해한 것도 이해는 갑니다. 아마도 이렇게 투덜거렸겠죠. “우리가 지금껏 속아 왔다고? 자신만이 진리를 안다고? 앞도 제대로 못 보고 저렇게 비틀거리는 사람이?”

 

동굴 속 사람들은 지금 스스로가 무지한지 모릅니다. 평생 봐온 그림자를 두고 가짜니 거짓이니 말하는 사람이 곱게 보였을 리 없습니다. 조금씩 불만을 토해내던 이들 중 누군가 이렇게 외쳤을지 모릅니다. 저 사람을 죽여 버리자! 마치 소크라테스를 고소하고 사형시킨 아테네 시민들처럼요. 진리를 남들보다 먼저 깨닫고 그것을 전한다는 건 정말 큰 용기를 요하는 일인 듯합니다.

 

우린 이 이야기에서 진리는 감추어져 있으며, 그 진리를 발견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읽을 수 있습니다.

 

 플라톤은 실제로도 우리가 살아가는 이 세계(플라톤은 이 세계를 ‘현상계’라고 부릅니다)는 한갓 그림자에 불과한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이데아(idea)라는 진리는 ‘형상계’라는 곳에 있습니다. 플라톤은 이렇게 두 세계가 있다고 여겼습니다. 영화 속에서 매트릭스라는 가상세계와 실제세계가 구분되어 있는 것처럼요. 이를 두 세계론(two-worlds theory)이라고 합니다. 우리가 사는 세계 말고 다른 세계가 있다니! 이렇게 생각하는 분이 있을지 모르겠군요. 하지만 플라톤의 생각은 그리 허황된 것만은 아닙니다. 철학자 남경희 님의 말을 들어볼까요?

 

“플라톤이 말한 형상계는 현실에서 존재하지 않으나 언젠가는 실현될 수 있으리라 우리가 믿는 완전한 실현태를 의미한다.  철학이나 학문의 목표, 나아가 윤리적 실천의 목표는 이런 실재자들에로 나아가는 것이며, 실재계로 나아가지 못하는 한, 인간은 영원히 수인의 상태에 머무를 수밖에 없다. 상식적인 틀 속에서 무반성적으로 사는 삶이란 그림자의 세계에 안주하는 삶인 반면, 철학적인 삶이란 빛 속에서의 삶 또는 빛 속으로 나아가고자 노력하는 삶이다.”

-‘플라톤-서양철학의 기원과 토대’(남경희 씀)

 

두 세계를 가정하는 것은, 현실과는 다른 이상향을 세우는 일은, 현실을 아직은 부족한 것으로 여기고 더 나은 미래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게 만들어줍니다.

 

★★

 

요즘 ‘긍정의 힘’을 강조하는 분이 많은데, 플라톤이 살아 있다면 아마 좋아하지만은 않았을 것 같습니다. 비판이 전제되지 않은 긍정은 사람들을 현실에 안주하게 만들어 버리기 때문이죠.  현실에 대한 비판적 투덜거림, 진보를 위해선 꼭 필요한 것입니다.  물론 비판이라는 건 건설적이어야 합니다.

 

플라톤이 옹호하는 것은 비판을 위한 비판이 아니라 더 나은 미래를 위한 비판, 이상향에 도달하기 위한 비판입니다. 비판에 충실한 공부, 애정 어린 고민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출처 : 민주공인중개사모임[민중모]
글쓴이 : 글로벌뉴스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