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GTX 예정 노선도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인천 송도-청량리 노선(B노선)의 조기 건설이 결국 무산됐다.
3개 노선 중 최악의 경제성을 기록하면서 결국 사업 전반이 원점부터 다시 검토될 예정이다.
준비없이 정부의 '입'만 바라보던 인천시에게는 여론의 비판이 쏠릴 것으로 예상된다.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28일 GTX 3개 노선의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일산-삼성 노선(A노선) 사업을 우선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 경제성을 나타내는 비용대비편익(B/C) 수치가 3개 노선 동시착공 0.84, A노선 1.33, B노선 0.33, 의정부-금정(C노선) 0.66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 수치가 1을 넘어가면 경제성이 있다는 뜻이다.
국토부는 앞으로 1년간 A노선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반면 나머지 노선에 대해선 사업 보완을 위한 연구에 들어가겠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B노선의 경제성이 부족한 이유에 대해 "강남권 연결이 어렵고 기존 경인선 급행철도와 인천지하철 1호선과의 노선 중복으로 수요 확보에 한계가 있다. 사업비도 가장 높다"고 설명했다.
B노선은 원점에서 다시 검토될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는 B노선을 보완하기 위해 당아래-잠실 구간의 노선과 경인선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문제는 보완 계획이 완성된 이후에도 다시 예비타당성 조사 절차를 거쳐야 한다는 점이다.
지금까지 GTX의 예비타당성 조사에 수 년이 걸린 점을 감안하면 1~2년이라는 단기간 내에 B노선이 착공될 가능성은 매우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GTX B노선 무산에 따른 인천시의 '책임론'도 대두된다.
시는 지난 2012년 말 녹색기후기금(GCF) 사무국 송도 유치를 계기로 B노선의 필요성을 강조해 왔다.
하지만 주장 이외에 구체적인 방안을 내놓진 않았다.
안일한 대응은 정부가 A노선 조기 착공으로 기우는 과정에서도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정부가 이미 지난해부터 A노선 우선 착공으로 가닥을 잡았는데도 시는 이번 발표가 있기 3일 전인 지난달 25일에야 관련 부처에 공문을 보내며 대응하기 시작했다.
시 관계자는 "공항과 항만, 경제자유구역이 있는 인천에는 GTX 노선이 반드시 건설돼야 한다"며 "대응을 안일하게 했다기 보다 시가 예비타당성 조사에 개입할 여지가 적었다"고 말했다.
|